본문 바로가기

우리 가족 볼거리

서울공예박물관, 한국 공예의 역사와 아름다움을 체험하는 공간 관람 후기 관람 정보

반응형

최근 전시실 내부 공사를 마치고 운영을 재개한 서울공예박물관을 다녀왔습니다.^^
 

어린이박물관 전경 ⓒ 서울공예박물관


그동안 서울공예박물관 주변을 지나면서 '저 박물관은 외관이 예쁘다' 정도로만 생각하고 지나쳤는데, 이번 관람을 통해 서울공예박물관은 그 외관뿐만 아니라 내부 공간과 전시 내용도 훌륭하고 아름답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서울공예박물관 전경 ⓒ 2023 서울건축문화제


이렇게 좋은 곳을 저 혼자만 보기는 아깝다는 생각에 앞으로 서울공예박물관을 관람하는 데 알아두면 좋을 내용을 공유해드리고자 합니다.^^

서울공예박물관 관람 정보

 

  • 운영시간   10:00 ~ 18:00
  • 휴관일   매주 월요일 / 1월 1일
  • 관람료   무료
  • 교통   지하철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
네이버 지도

 

'서울특별시 건축상'을 수상한
서울공예박물관

 
서울공예박물관은 안내동, 전시동, 어린이박물관 등 여러 건물로 구성되어 있는데, 건물들 하나하나가 모두 개성이 있고 아름다워 그 자체로 하나의 미술 작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전시1동 전경 ⓒ VMSPACE


특히 서울공예박물관은 2023년 서울건축문화제에서 '서울특별시 건축상'(우수상)을 수상하였는데, 그만큼 서울공예박물관은 그 건축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이 공식적으로 검증된 곳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전시1동과 어린이박물관 전경 ⓒ 2023 서울건축문화제


이처럼 건축물 자체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주는 서울공예박물관을 방문하여 관람하게 되면 그 전시 내용 외에도 건물들의 외관과 미적 구성을 감상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어린이박물관 앞 잔디밭 ⓒ VMSPACE

 
서울공예박물관 앞으로 넓은 마당이 펼쳐져 있는데, 평소 건물의 좁은 공간 속에서 생활하는 관람객들로 하여금 넓은 마당을 거닐며 잠시나마 다른 생각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해 주는 것 같습니다.
  

서울공예박물관 앞 마당 전경 ⓒ 2023 서울건축문화제
서울공예박물관 일대 전경 ⓒ 2023 서울건축문화제
반응형
상설 전시 작품들

 

장인, 세상을 이롭게 하다

 
공예(工藝)의 사전적 의미는 '물건을 만드는 재주와 기술'이라고 하는데, 그 사전적 의미에서 느껴지듯이 우리가 보통 '공예품'이라고 불리는 것들은 대개 '우리 일상 생활에서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물건' 정도로 생각해 왔던 측면이 있고, 저 역시 그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전시1동 전시실 ⓒ 서울공예박물관

 
그런데, 서울공예박물관에 전시된 공예품을 관람하면서 우리 선조들이 만든 공예품을 단순한 ‘물건’으로 취급하기에는 그 섬세함과 미적 감각이 뛰어나다는 생각과 함께 이러한 공예품을 만든 장인들은 물건을 만드는 재주꾼 또는 기술자를 넘어 공예를 예술로 승화시킨 '예술가'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고려청자


또한, 장인들이 만든 공예품들은 일상 생활에 필요한 물건이라는 차원을 넘어 그 자체로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서 우리 인류를 더욱 찬란하게 만든 문화유산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전시1동 전시실 ⓒ 서울공예박물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장인정신’이라고 하는 것은 ‘자기가 하고 있는 일에 전념하고 한 가지 기술에 전공하여 그 일에 정통하려고 하는 철저한 직업 정신’을 가리키는데, 그동안은 다소 추상적으로 느껴졌던 이 단어가 이번 공예품들을 감상하면서 좀 더 구체적이고 입체적으로 다가왔습니다.
 

공예작품 속 작은 문양 하나도 모두 아름답습니다

 
어찌 보면 별로 중요하지 않고 대수롭지 않게 보일 수 있는 부분도 그냥 지나치지 않고 세심한 부분까지 정성 들여 만든 공예작품들을 보면서 당시 장인들이 얼마나 심혈을 기울여 만들었는지가 느껴집니다. 자칫 평범해 보일 수 있는 소품 하나도 장인의 손을 거쳐 훌륭한 예술 작품이 되었습니다.
 

평범한 작은 그릇 하나도 장인의 손을 거쳐 예술작품이 되었습니다

 
박물관 속 훌륭한 공예작품들을 보면서 당시 장인들이 어떠한 마음가짐과 태도를 가지고 작업에 임하였는지를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고, 한편으로 나는 내가 하는 일에 얼마나 진심을 가지고 임하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나전 모란넝쿨 무늬 경합


박물관에 전시된 공예작품들 중 제가 인상깊게 본 작품들을 좀 더 공유해 드립니다.^^
 

화각함
백자청화 해치모양 연적
백자 해치모양 계영배 받침
나전칠 석류무늬 탁상
금강령 및 금강저(금속공예작품)

 


 
서울공예박물관 전시 내용 중에는 일부 공예작품들이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인지, 그 원리를 쉽게 설명해 준 부분이 있는데, 이를 통해 공예작품이 어떠한 제작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지를 새롭게 알게 되었고, 아이들에게도 좋은 교육 자료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고려청자 상감기법에 대한 설명
나전칠기 제작 과정에 대한 설명
자수 제작 과정에 대한 설명

 


 

자수 작품들

 
우리 선조들은 일상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물건에 소망이나 염원을 담는 방법으로 자수를 많이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전시3동 전시실 ⓒ 서울공예박물관

 
병풍처럼 크고 화려한 물건을 비롯하여 늘 몸에 지니고 다니는 주머니, 보자기, 옷, 신발 등에도 원하는 문양과 글자를 아름답게 수놓았다고 합니다.
 

자수 병풍 ⓒ 서울공예박물관
자수 병풍
자수병풍

 
자손이 번성하고 오래 살며 복을 받기를 바라는 마음에 장수와 복을 함께 의미하는 '壽福'(수복)이라는 글자를 많이 수놓았다고 합니다. 우리 전통 자수의 아름다움과 섬세함에 한동안 넋을 넣고 보았습니다.^^
 

전시3동 전시실 ⓒ 서울공예박물관
여러 문양의 자수가 박힌 의상
자수 문양

 


 
전시실 중간에 박물관 앞 마당의 멋진 전경을 바라보며 쉴 수 있는 휴게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곳에 놓여 있는 예쁜 의자들도 모두 어느 공예작가가 만든 공예작품들로 보입니다.  이런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 쓴 박물관 담당자들께 존경과 감사한 마음을 표합니다.^^
 

전시3동 전시실 내 휴게 공간 ⓒ 서울공예박물관
전시1동 1층 휴게공간

 

박물관 속 공예 작품들

 
서울공예박물관 곳곳에 범상치 않은 공예작품들이 많이 놓여 있는데, 이는 박물관 측에서 여러 공예작가들과 함께 다양한 공예작품을 제작하여 박물관 내부와 외부 공간에 설치한 것입니다. 관람객들로 하여금 만지거나 앉아볼 수 있게 설치해 둔 덕분에 공예작품에 대해 한층 더 친근하게 체험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전시3동 1층 로비 ⓒ 한국관광공사
전시1동 안내데스크 ⓒ 한국관광공사
박물관 안쪽 마당 ⓒ 한국관광공사
전시1동 앞 마당 ⓒ 한국관광공사
안내동 1층 천장 유리공예 작품

 

편의시설

 

공예도서실

 
전시1동 1층에 위치한 공예도서실에는 다양하고 많은 양의 공예 관련 서적들이 비치되어 있는데, 도서실 내 곳곳에 편하게 앉아서 책을 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어 편안하고 쾌적한 분위기 속에서 책을 읽을 수 있습니다. 서울공예박물관은 도서실도 특별히 신경 써서 마련한 듯합니다. 훌륭합니다.^^
 

서울공예박물관 홍보영상 화면 캡처

 

박물관 카페 

 
안내동 1층 한쪽 면에 작은 카페가 있습니다. 자리가 많지는 않지만, 층고가 높아 답답하지 않고 편안하게 주변을 감상하면서 커피 한잔 하기 좋습니다.
 

안내동 1층 카페와 기념품 가게

 

박물관 기념품 가게

 
안내동 1층 카페 맞은편에 위치한 기념품 가게에는 공예 작가들의 개성이 느껴지는 아기자기한 기념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기념 삼아 사고 싶은 제품들을 둘러보는 재미가 있습니다.^^ 
 

 


 
서울공예박물관은 이것 저것 볼거리가 정말 많은 훌륭한 박물관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가족들, 연인 또는 지인과 함께 방문하여 관람하시면 좋은 추억이 될 것입니다.
한 번 방문해서 관람해보시기를 권합니다.^^

반응형